728x90
if(조건){
조건이 true일 경우 들어옴
}else if(또 다른 조건){
조건이 true일 경우 들어옴
}else if(또 다른 조건){
조건이 true일 경우 들어옴
}else {
모든 조건이 false인 경우 들어옴
}
연산자
if 문에 조건을 쓸때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가 많이 쓰인다.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는 항상 true, false로 떨어진다
범위 표현
1~10사이라는 조건을 표현하고 싶을때는 반드시 && 연산자를 써줄 것
1<a<10 => X틀림
1<a && a<10 => o맞음
==과 ===의 차이
둘의 차이는 자료형까지 일치해야하는가? 이다.
a==b 의 경우 둘의 값만 같으면 됨
a===b의 경우 둘의 값 + 자료형까지 같아야함 (더 엄격한 비교)
let a = 1
let b ="1"
console.log(a==b) //true
console.log(a===b) //false
예제
let skills = ["HTML","CSS"]
if(skills.includes("HTML")&&skills.includes("CSS")&&skills.includes("Javascript")&&skills.includes("React"))
{
console.log("합격")
}
else if(skills.includes("HTML")&&skills.includes("CSS")&&skills.includes("Javascript"))
{
console.log("예비")
}
else
{
console.log("불합격")
}
삼항연산자 예제
let fruit ="apple"
// 조건식 ? 참일때 : 거짓일때
let buy = fruit=="apple" ? "사과니까, 구입할게요." : false
console.log(buy)
fruit ="banana"
buy = fruit=="apple" ? "사과니까, 구입할게요." : false
console.log(buy)
출력결과
사과니까, 구입할게요.
false
switch
- 조금더 간결하고 의미가 명확해 보인다는 장점이 있음
- case가 값으로 딱 정해진 경우에만 사용가능
- 조건이 비교식일 경우 사용 불가
let food = '햄버거' switch(food){ case '피자': console.log("피자를 주세요") break; case '햄버거': console.log("햄버거를 주세요") break; default: console.log("메뉴에 없는 음식입니다") }
default는 else처럼 매칭되는 case가 없을때 실행이 된다.
삼항 연산자
- if문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.
- 조건에 따라 실행하는 내용이 한가지일때 쓰기 좋다
- 조건에따라 실행하는 내용이 다르다
- 조건식? 참일때 : 거짓일때
let food = '햄버거' let answer = food == '햄버거'? '햄버거 좋아':'햄버거 싫어'
- 연산식을 붙여서 더 많은 조건 표현도 가능하다
-
let food = '햄버거' if(food == '피자'){ console.log('피자좋아') }else if(food == '햄버거'){ console.log('햄버거 좋아') }else{ console.log("다 싫어") } // 위의 if문을 삼항연산자로 표현하면 let answer = food =="피자"?"피자좋아":food == '햄버거'?'햄버거 좋아':"다 싫어" console.log(answ
728x90
'Javascript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초 자바스크립트] 7. 반복문, 구구단 등 예제 (0) | 2022.03.11 |
---|---|
[클린코드 자바스크립트] var를 지양하자(var, let, const) (0) | 2022.03.10 |
[기초 자바스크립트] 5. 객체 타입(자료형), 객체(자료형)를 배열 안에 넣기 (0) | 2022.03.09 |
[기초 자바스크립트] 4. 배열, 배열과 같이 쓸 수 있는 함수들 (0) | 2022.03.08 |
[기초 자바스크립트] 3. temp 예제 (0) | 2022.03.03 |